본문 바로가기
정부지원정책

>2025 중소기업 정책자금: 시설자금 vs 운전자금, 뭐부터 받아야 할까?

by 마수리100 2025. 5. 21.
반응형

 

#중진공시설자금 #중진공운전자금 #2025중소기업정책자금 #제조업자금지원 #시설자금신청 #운전자금조건 #중소벤처진흥공단

2025 정책자금 시설자금 vs 운전자금, 뭐부터받아야할까에 관한 사진 자료

📢 중소기업이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자금 선택 전략! 시설자금과 운전자금, 헷갈리는 분들을 위해 명확하게 비교해 드립니다.

정부는 매년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다양한 자금을 지원하지만, 실제 사업 현장에서는 “시설자금을 먼저 받아야 할까? 운전자금이 급한데 우선 가능할까?” 이런 고민이 많습니다.

특히 제조업과 유통·서비스업의 경우 필요한 자금의 종류와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자금의 성격을 정확히 이해한 뒤 신청하는 것이 승인률과 자금 운용 효율에 큰 차이를 만듭니다.

1. 자금별 정의 및 차이점 정리

구분 시설자금 운전자금
용도 기계구입, 공장 확장, 장비 구축 등 원자재 구입, 인건비, 운영비 등
지원 한도 최대 수십억 원까지 (평가 기반) 보통 2억 원 내외 (연간)
심사 기준 사업계획서 + 현장 실사 + 시설도면 등 매출 흐름, 신용 상태, 재무 안정성
상환 조건 최장 10년 (거치 2~3년 포함) 통상 5년 이내 (거치 1~2년)
신청 시점 사전 준비 필요 (건물계획, 도면, 견적 등) 빠르게 신청 가능 (서류 간소)

2. 상황별 추천 자금 전략

✅ 케이스 A: 제조업 신규 설비 도입 예정
시설자금 우선. 기계 구입, 자동화 설비 투자 등은 설비 견적서, 장비 스펙 등 구비 후 신청. 예산이 클 경우, 투자 전 선신청 → 선심사 → 자금 확보 → 매입 진행이 베스트.

✅ 케이스 B: 매출은 있지만 현금흐름이 불안정한 유통업
운전자금 우선. 월 매출은 나는데 재고 구입/급여/임대료 등 단기 운영자금 부족 시 유용. 금리가 낮고 신청서류도 간단해 가장 실용적 자금.

✅ 케이스 C: 확장 중인 사업장 + 신규인력 채용
시설 + 운전자금 동시 신청도 가능. 단, 사업계획서와 목적을 명확히 분리해 제출해야 승인률이 높습니다.

3. 신청 방법 & 유의사항

  • 신청 경로: 중소벤처진흥공단 정책자금 온라인시스템
  • 회원가입 → 기업등록 → 자가진단 후 신청
  • 자금별 평가방식 다름: 시설자금은 실사 필수, 운전자금은 신용평가 중심
  • 신청 전 준비: 회계자료, 사업자등록증, 매출확인자료, 기계견적서, 도면 등

✔ 핵심은 “자금 목적을 명확히 나눠야 승인률이 올라간다”는 점입니다.

🔔 결론: 사업 성장 단계에 따라 선택이 달라야 합니다

시설자금과 운전자금은 단순히 ‘금액’이 아닌 ‘사업 흐름’을 설계하는 도구입니다.

지금이 투자 타이밍이면 시설자금부터, 운영이 버겁다면 운전자금부터. 상황에 맞게 순서를 정해 움직이면 자금이 곧 사업의 추동력이 됩니다.

👉 다음 글 예고: 중진공 자금신청 승인률 높이는 사업계획서 쓰는 법

반응형